소개
UD and Me
구독하기
어바웃 UD
UD툰
이달의 UD
UD 인사이트 아카이브
UD 오프더레코드
Share
소개
UD and Me
어바웃 UD
UD툰
이달의 UD
UD 인사이트 아카이브
UD 오프더레코드
구독하기
UD 오프더레코드
다양한 사례와 사람을 만나 소개합니다!
“넌 모르잖아. 알록달록한 세상”
KCC 컬러디자인센터는 어떤 일을 하는 곳인가요?
컬러와 유니버설디자인은 어떤 관련성이 있나요?
컬러로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는 센터가 있다고?
1989년 순경으로 경찰에 입직 후 34년 동안 경찰관 생활을 통해 수많은 아이디어로 시민의 안전을 지키고 있는 유창훈 경정. 유 경정은 현재 남양주남부경찰서에서 ‘112 종합상황실장’으로 남양주 남부 경찰서 관내 112 신고 책임자로 근무하고 있다. 언뜻 보면 다른 경찰관과 다를 것 없어 보이지만, 유 경정은 경찰 내에서 발명왕 ‘에디슨’으로 불린다.
경찰 내에서 ‘에디슨’으로 불린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얻나요?
모든 발명품에 대한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그중에서 먼저, 특수 형광 물질에 대한 이야기부터 듣고 싶습니다. 언제, 어떻게 시작된 발명품인가요?
유창훈 경정이 꺼낸 특수형광물질.
구리시에 시범적으로 특수형광물질을 도입한 지 10년이 지났습니다. 어떤 성과가 있었나요?
2018년에는 장수의자를 발명했습니다. 이 발명품은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고요.
시민의 안전을 위해 발명품을 개발하는 경찰관이 있다고?
흰머리 가발, 솜으로 막은 귀, 철제 보조기를 달아 불편한 다리, 뿌연 안경을 써 앞이 보이지 않는 눈. 26세 나이에 80대 노인으로 변장한 모습으로, 4년 동안 100개의 도시를 다닌 디자이너가 있다.
당신의 디자인은 ‘창의성은 사용자를 공감하는 경험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 을 말해줍니다. 사용자 중심의 창의적인 디자인을 위해서는 일상 속 어떤 경험이 필요할까요?
44년 전에는 직접 분장해서 보이지 않았던 노인의 불편함을 찾아냈다면, 이제는 당사자의 나이가 되었습니다. 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디자인은 무엇인가요?
당신이 애용하는 디자인 제품은 무엇인가요?
노인 변장으로 불편을 직접 경험한 디자이너가 있다고?
(사진: 오롯 플래닛 최인혜 대표. 최인혜 대표가 들고 있는 것은 영화 촬영 시 사용하는 슬레이트다.)
청각장애인들의 문화 콘텐츠 향유를 위해 애쓰는 사람들이 있다. 배리어프리 자막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는’오롯 플래닛’이다. 오롯 플래닛은 영화, 영상, 공연과 같은 문화 콘텐츠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을 입히고, 온/오프라인 배리어프리 행사를 개최하며, 배리어프리를 주제로 다방면의 활동을 펼치는 사회적 기업이다. 가을바람이 코끝을 스치던 9월 어느 날, LG 소셜 캠퍼스에서 오롯 플래닛의 최인혜 대표를 만났다.
‘오롯: 영화를 읽는 사람들’에서 ‘오롯 플래닛’으로 회사 이름이 바뀌었어요. 바뀐 이름에 어떤 의미를 담았는지 궁금합니다.
오롯 플래닛이라는 회사를 한 문장으로 소개한다면?
배리어프리 서비스에 관심을 가진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배리어프리 정착을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청각장애인을 위한 문화콘텐츠 서비스가 있다고?
양쪽 어깨가 흠뻑 젖을 만큼 폭우가 내리던 날, 고요한M 송민표 대표(이하 송 대표)를 만났다. 제법 긴 인터뷰가 이어졌음에도 빗줄기는 줄어들기는커녕 더 거세졌다. 쉽게 문밖을 나서지 못하고 있는데 송 대표가 로비로 내려왔 다. “비가 그칠 때까지 편히 있다 가셔요.” 자연스럽고도 기민하게 타인을 살피는 그의 따듯한 시선이 고요한M의 서비스에도 고스란히 묻어난 듯했다.
고요한M의 시작이 궁금해요.
서비스 준비 과정에서 맞닥뜨린 어려움은 무엇이었나요?
최근에 추가한 서비스가 있나요?
교통약자를 위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있어 그들이 겪는 불편함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했을 것 같아요.
아주 특별한 유디 택시가 있다고?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네이버클라우드의 인공지능(AI) 안부 전화 서비스 클로바 케어콜(이하 케어콜). 연속성 있는 대화가 가능한 이 서비스는 현재 노년 인구, 특히 독거노인의 건강과 생활을 살피는 데 톡톡히 쓰임 받는다. 케어콜의 가치는 지난 2년간의 통계청 조사에서 찾을 수 있다. 65세 이상 노인 1인 가구 비율은 20.8%로, 2021년(20.6%)에 이어 소폭 상승했다. 이 수치를 통해, 케어콜을 필요로 하는 이용자가 대한민국 인구의 20%라는 사실을, 앞으로 그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클로바는 어떤 서비스인가요?
네이버 본사
클로바 케어콜 서비스는 한 마디로 어떤 서비스인가요?
케이콜 서비스는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유니버설디자인으로서 케어콜을 설명해주세요.
대화가 가능한 AI 안부 전화 서비스가 있다고?